CentOS에 memcached 설치법
memcached 설치 방법입니다. ‘CentOS 5.2’를 기준으로 작업하였습니다. 설치 작업은 root 권한으로 실행해야 합니다. libevent 설치 yum을 사용해 libevent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
memcached 설치 방법입니다. ‘CentOS 5.2’를 기준으로 작업하였습니다. 설치 작업은 root 권한으로 실행해야 합니다. libevent 설치 yum을 사용해 libevent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
개인적으로 호스팅을 Cafe24에서 두 개 받고 있습니다. 하나는 이 블로그가 돌아가는 웹호스팅이고, 다른 하나는 개발 및 이것 저것 좀 돌려보는데 사용하는 가상 서버 호스팅입니다. ...
요즘 개인용 컴퓨터도 멀티코어를 장착하고 나올 정도로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가 흔해졌습니다. 덕분에 멀티프로세스(Multiprocess) 프로그래밍으로 개발한 데몬과 같은 것을 실행시켜 보면 여러 프로세서에 적당히 나뉘어 실행되는 것을 쉽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을 쓴 이후에 6월 5일에 cafe24로부터 메일을 받았습니다. 가상서버호스팅의 문제를 해결했으니 사용해보라는 메일이었습니다. 그 뒤로 시간이 없어 제대로 테스트 해보지 못하였습니다. 오늘(7월 11일)에서야 다시 블로그를 가상 서버 호스팅으로 이전하여 테스트 해보았는데 간혈적인 멈춤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비슷했습니다. ...
memcached에 들어있는 모든 키의 목록이 필요 할 때가 있습니다. 그동안 API 상에 키를 가져오는 함수가 없어 모든 키를 가져오는 방법이 없다고 생각했습니다만, 조금 번잡하지만 가져오는 방법이 있더군요. ...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파티션 크기를 바꿔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 파티션을 삭제하고 OS를 재설치하는 것은 매우 시간도 오래 걸리고 번거로운 작업입니다. 그래서 OS 재설치 없이 파티션 크기를 조절하는 프로그램이 있는데 윈도우에서 가장 유명한게 PartitionMagic입니다. 하지만 이 파티션매직은 상용 소프트웨어라 돈을 주고 사야한다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파티션 크기를 바꾸는게 1년에 한 번 있을까 말까한데 돈을 들인다는 건 부담스럽습니다. ...
OS 책에서는 보지 못한 새로운 프로세스 상태인 TASK_KILLABLE을 새로 리눅스 커널이 도입했습니다. http://www.ibm.com/developerworks/kr/library/l-task-killable/ 리눅스 프로세스 상태를 간단히 참고하기에도 좋은 문서인 듯 합니다. ...
우분투(Ubuntu) 리눅스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팜과 동기화는 pilot-link 를 통해서 에볼루션과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과거에는 pilot-link 가 팜의 인코딩을 CP1252로 무조건 생각하였기 때문에 한글이 깨지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
MPM을 worker 로 설정했을 때 thread 관련 오류를 내면서 컴파일이 안 됩니다. 인터넷을 찾아보니 버그 픽스까지 있더군요. 해당 2.2.6 버전용이라 최신인 2.2.9 에서는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할 것 같습니다. ...
Zeroboard 5와 Mediawiki 를 위해서 UTF-8 서버로 이전한지도 꽤 시간이 흘렀습니다. 정작 ZB5는 IE7 과 문제 때문에 못 쓰고, Mediawiki 는 다른 서버에 설치해버렸군요. 덕분에 기존에 제가 쓰던 서비스들을 UTF-8에서 동작하도록 모조리 수정해야했습니다. 이 장대한(?) 삽질기를 간략한 기록으로 정리하려고 합니다. 혹시 UTF-8로 이전하신 분들께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